2022.08.11목
담당자 : 기획예산과 예산팀 | 전화번호 : 061-540-3025
○ 2022년 예산기준 재정공시 | 2022년 예산기준 재정공시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
○ 총괄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
○ 예산규모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
○ 재정여건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
○ 재정운영계획 |
- 중기지방재정계획
- 성인지 예산현황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현황 - 성과계획서 - 재정운용상황개요서 - 국외여비 편성현황 - 행사・축제경비 편성현황 - 업무추진비 편성현황 - 지방의회 관련경비 편성현황 - 지방보조금 편성현황 - 1인당 기준경비 편성현황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 재정운용성과 |
-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출효율화)
- 보통교부세 자체노력 반영현황(세입확충) - 지방교부세 감액 현황 - 지방교부세 인센티브 현황 - 기금 성과분석결과 - 재정분석 결과 - 통합부채 결과 |
PDF 다운로드 HWP 다운로드 |
재정자립도란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재정자립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영의 자립능력은 우수하게 됩니다. 2019년도 우리군의 결산 기준 재정자립도는 4.98%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립도 (B/A) |
세입 합계 (A=B+C+D+E) |
자체세입 (B) |
이전재원 (C) |
지방채 (D)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E) |
---|---|---|---|---|---|
4.98 (32.35) |
581,780 (581,780) |
28,962 (188,229) |
393,551 (393,551) |
0 (0) |
159,268 (0) |
(단위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0 | 7.41 | 6.20 | 5.64 | 4.98 |
재정자주도란 전체 세입에서 용처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집행할 수 있는 재원의 비율을 말합니다. 재정자주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재정운용의 자율성도 좋다는 의미이며 2019년도 우리군의 결산 기준 재정자주도는 45.09%입니다.
(단위 : 백만원, %)
재정자주도 (B/A) |
세입 합계 (A=B+C+D+E) |
자주재원 (B) |
보조금 (C) |
지방채 (D)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E) |
---|---|---|---|---|---|
45.09 (72.47) |
581,780 (581,780) |
262,349 (421,617) |
160,163 (160,163) |
0 (0) |
159,268 (0) |
(단위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0 | 52.81 | 54.52 | 48.68 | 45.09 |
통합재정수지란 당해연도의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지로서 회계-기금간 내부거래 및 차입, 채무상환 등 보전거래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를 의미합니다. 다음은 2019년도 우리 군의 결산 기준 통합재정수지입니다.
(단위 : 백만원, %)
회계별 | 통 계 규 모 | 통합재정 규모 (F=B+E) |
통합재정 수지 (G=A-F) |
||||
---|---|---|---|---|---|---|---|
세입 (A) |
지출 (B) |
융자 회수 (C) |
융자 지출 (D) |
순융자 (E=D-C) |
|||
총 계 | 425,597 | 388,899 | 82 | - | △82 | 388,817 | 36,780 |
일반회계 | 422,512 | 376,313 | - | - | - | 376,313 | 46,199 |
기타 특별회계 |
2,504 | 11,387 | 82 | - | △82 | 11,306 | △8,801 |
공기업 특별회계 |
- | - | - | - | - | - | - |
기 금 | 581 | 1,199 | - | - | - | 1,199 | △618 |
(단위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 47,748 | 27,251 | 46,779 | 36,780 |
분 야(분석지표) | 진도군 | 전국평균 | 유사 지자체 평균 | |
---|---|---|---|---|
Ⅰ. 재정효율성 | 1. 자체수입비율 | |||
1-1. 지방세수입 증감률 | △2.13% | 7.63% | 3.80% | |
1-2. 세외수입 증감률 | 12.12% | 8.67% | 13.16% | |
2. 지방세징수율 | 94.18% | 97.82% | 95.98% | |
2-1. 지방세징수율 제고율 | 0.9946 | 1.0002 | 1.0003 | |
3. 체납액관리비율 | ||||
3-1. 지방세체납액 증감률 | 7.50% | △4.24% | 7.47% | |
3-1. 세외수입체납액 증감률 | 10.11% | 1.27% | 2.12% | |
4. 지방보조금비율 | 7.42% | 5.88% | 7.79% | |
4-1. 지방보조금비율 증감률 | 4.71% | 12.08% | 9.84% | |
5. 출자·출연·전출금비율 | 0.25% | 2.40% | 0.65% | |
5-1. 출자·출연·전출금비율 증감률 | △28.87% | 14.30% | 15.40% | |
6. 자체경비비율 | 98.53% | 10.21% | 79.28% | |
6-1. 자체경비비율 증감률 | 15.77% | 9.07% | 12.33% | |
Ⅱ. 재정계획성 | 7.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 80.65% | 101.96% | 89.40% |
8. 세수오차비율 | 96.65% | 92.51% | 87.87% | |
9. 이·불용액비율 | 7.70% | 7.79% | 10.82% | |
Ⅲ. 재정건전성 | 10. 통합재정수지비율 | 9.46% | 1.90% | 6.90% |
11. 관리채무비율 | 0.02% | 6.54% | 0.50% | |
12. 통합유동부채비율 | 14.41% | 22.66% | 5.33% | |
13. 공기업부채비율 | 0.00% | 34.44% | 4.66% |
지 표 명 | 산 식 | 속성 | 지표값 설명 |
---|---|---|---|
1. 자체수입비율(증감률) | 3년평균 자체수입 징수액 / 세입결산액 × 100 | ↑ | 비율이 높을수록 자체수입 확충을 위한 자구노력이 높음 |
2. 지방세징수율(제고율) | 지방세실제수납액 / 지방세징수결정액 × 100 | ↑ | 비율이 높을수록 징수노력이 높음 |
3. 체납액관리비율(증감률) | 체납누계액 / 세입결산액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체납 지방세관리 및 축소노력이 높음 |
4. 지방보조금비율(증감률) | 지방보조금결산액 / 세출결산액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재정운영의 탄력성과 유연성이 높음 |
5. 출자․출연․전출금비율(증감률) | 출자․출연․전출금결산액 / 세출결산액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재정부담이 낮음 |
6. 자체경비비율(증감률) | 자체경비결산액 / 자체수입 결산액 × 100 ※ 자체경비 : 일반운영비, 여비, 재료비, 의회경비, 업무추진비 포함 |
↓ | 비율이 낮을수록 자체경비 절감노력이 높음 |
7.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 당초예산기준 정책사업비 / 중기지방재정계획상의 정책사업비 × 100 | 100% 지향 | 100%에 근접할수록 예산편성의 계획성이 높음 |
8. 세수오차비율 | {(당초예산액 / 세입결산액) X 50 + (최종예산액 / 세입결산액) X 50 | 100% 지향 | 100%에 근접할수록 세입예산의 계획성이 높음 |
9. 이·불용액비율 | 이불용액 / 예산현액 × 100 ※ 이불용액 = 이월액(사고이월비) + 불용액 |
↓ | 비율이 낮을수록 예산집행의 효율성이 높음 |
10. 통합재정수지비율 | (세입 - 지출 및 순융자) / 통합재정규모 × 100 | ↑ | 비율이 높을수록 재정운영의 건전성이 우수함 |
11. 관리채무비율 | 지방채무잔액(BTL 지급액 포함)/세입결산액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함 |
12. 통합유동부채비율 | 유동부채 / 유동자산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재정건성이 우수함 |
13. 공기업부채비율 | 부채총액/자기자본 × 100 | ↓ |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