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닫기

칭찬합시다

작성일: 2019-06-08 09:05 (수정일: 2019-06-08 09:07)

제목 문화관광해설사 벤치마킹(국외) 감사드리며 제안(장재호)
작성자
장재호
조회
938

문화관광해설사 벤치마킹(국외) 감사드리며 제안(장재호) 첨부#1

문화관광해설사 벤치마킹(국외) 감사드리며 제안(장재호) 첨부#2

일본의 국가 지정 사적.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전리품을 확인하기 위해 목 대신 베어갔던 조선인
2만 명의 귀와 코를 묻은 무덤이다. 무덤 위에는 불교에서 말하는
만물의 구성요소인 지((((()을 상징해서
쌓아올린 고린토[五輪塔]라 불리는 석탑이 세워져 있고, 둘레는 돌로 둘러쳐져 있다.
높이는 약 7.2m, 석탑의 높이는 약 m, 가로 폭은 약 49m이다.
역사적 변천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휘하 무장들이 부피가 큰 목 대신 가져갔던 것으로
본래 이름은 코무덤[鼻塚]이었으나 하야시 라잔[林羅山]
도요토미 히데요시보(豊臣秀吉譜)에서
코를 자른 것은 야만적이라며 귀무덤이라고 쓴 이래로 귀무덤으로 바뀌었다.
15979월에 축조되었으며, 이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인 사이쇼 쇼타이[西笑承兌]
코 공양 법회의 경문에서
명나라와 조선의 전사자들을 애도한다고 하면서
무덤 축조는 히데요시가 이들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긴[慈愍] 결과라고 적었다.
그러나 희생자의 대부분은 비전투원이었기 때문에 이 법회는 허구의 공양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납치되었던 유학자 강항(姜沆)은 히데요시의 자민(慈愍)에 대해
비판한 바 있다.
에도시대
조선통신사 환영연회가 조선인이총 앞의 호코지[方広寺] 대불 앞에서 거행되었는데,
유학자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州]가 진언하고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가 중개하여
조선인이총에 대나무울타리를 쳤다고 전해진다. 1625년에는 조선통신사
부사 강홍중(姜弘重)이 조선인이총을 방문하였다.
1898년 히데요시 사망 300년 때 대규모 개수가 이루어졌는데 일본 제국주의화의 분위기 속에
히데요시를 국가의 위신을 신장한 인물로 재평가함으로써 조선인이총은

일본 국위 위신의 증표로 여겨졌다.
1915년 황폐해 있는 조선인이총 둘레를 공교롭게도
히데요시를 존경하는 우익 인사 오바타 이와지로[小畑岩次郎]에 의해서 돌 울타리로 둘러치고
무덤을 정비하는 등의 수리가 이루어진 이후
,
1968412, 호코지(方広寺) 석루(石塁) 및 석탑(石塔)으로서
일본의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매년 10월에 위령제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내용은 백과사전에 수록된 글입니다.
사진은 교토 귀무덤 답사시 촬영한 귀무덤 입니다.
제안은
1271년 삼별초 여몽연합군 공격으로
김통정장군이 온왕을 모시고 퇴각시
왕고개(당시 논수골)에서 온왕이 참수되고
밀려서 돈지앞 들 전투에서 많은 사망자를 수습하지 못하고
널려있는 시신더미를 때무덤이라 불려왔는데
지금쯤 삼별초 궁녀둠벙 근처에 큰 무덤을 조성하여
때무덤으로 방문객들이나 후손들이 묵념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공공누리마크 제 1유형 (출처표시) 진도군청에서 창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
60%
고객만족도 평가
문화관광해설사 벤치마킹(국외) 감사드리며 제안(장재호) | 상세 | 칭찬합시다 : 진도군청 페이지 링크 QR코드 URL:http://www.jindo.go.kr/home/sub.cs?m=19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
『칭찬합시다』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콘텐츠 최종수정일 : 2023-02-07 17:25